한국목재신문 이명화 기자
공공 조달시장에서 위장한 중소기업이 퇴출될 위기에 처했다. 조달청은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을 지정해 중소기업청장이 지정한 제품은 대기업이 끼어들지 못하도록 대기업의 참여를 금지하고 있다. 그런데 대기업이 자사 임원으로 하여금 중소기업을 설립하게 하고 이렇게 위장한 중소기업은 대기업과 종속관계를 가져 결국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의 낙찰을 빼앗아가는 형국에 와있다.

국내 공공기관이 물품을 구매하는 공공구매 시장 규모는 113조원이고, 이 가운데 중소기업 제품 구매가 78조원으로 전체의 70%를 육박하고 있다고 한다. 중소기업에게는 중요한 판로확보의 수단이 되고 있는 공공 조달시장에서 대기업의 이처럼 약삭빠른 침투는 결국 시장을 좀먹는 일이 될 것이다.

그러나 공공 조달시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대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목재간판 시장에서 직접 생산을 하지 않으면서 직접 생산을 하는 것처럼 속여 용역 입찰을 받거나, 목재회사가 다른 목재회사들과 협력사를 맺어 5개, 6개 문어발 구축을 하고 있는 것도 심심찮게 확인할 수 있다.

목재가 친환경 재료로써 사용하면 할수록 좋은 자재임은 분명하지만, 목재 공급을 늘린다는 명분아래, 서로 암묵적으로 협력사를 구축해 수익을 창출하는 일이 과연 옳은 일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판로를 개척하는 것도 좋지만, 공공 조달시장에서 자금 확보를 위해 업체수를 지나치게 늘려가거나, 대기업이 중소기업으로 위장해 중소기업의 밥그릇을 빼앗는 것은 잘못됐다.

이는 결국 목재 가격의 인하를 가져오고 부정확한 수종을 납품하게 돼 결국은 목재시장이 다같이 무너지는 결과가 될게 뻔하다.

우리에게 만연돼 있지만 말할 수 없었던 업체 늘려나가기, 다 알지만 넘어갈 수 밖에 없는 우리만 아는 이야기, 이는 목재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점차 지양해야 할 것이다.

목재 시공회사나 자재회사들을 늘려나가는 것에 치중하기 보다는 목재 수종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래서 목재도 지금 유통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독특하고 다양한 수종이 있음을 알려야 한다. 기존 천연목재의 부가가치를 한차원 더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리에게 만연된 업체수 늘리기, 덤핑 경쟁, 물량 공세, 부정확한 수종의 납품 공급은 없어져야 한다.

어느 목재제품 제조사 대표의 말이 인상깊게 남는다. 목재의 과학화를 이뤄내 소비자들에게 이로운 목재제품을 생산하고 싶고, 소비자가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자부심과 책임의식이 안생길수 없다 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 우리 목재업계 종사자들도 본인의 업무가 결국은 이 산업에 어떻게 작용하게 될지 잠시라도 생각하는 시간을 갖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