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량합판: 종이에 수지를 함침, 가공하여 만든 벌집형 구조체(honeycomb), 단판이나 작은 목편으로 빈 부분이 많도록 만든 것, 발포수지체, 연질섬유판, 경량삭편판 등을 심판으로 사용하고 부심판 및 표, 리판에 단판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판이다.
통상 두께 20㎜ 이상의 합판을 제조할 때 적당한 것으로 합판 무게의 경량화가 주목적이며 가구, 항공기 마루판 등 특수한 용도로 사용된다.
중밀도섬유판을 심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단판만을 심판으로 한 것보다 약 25% 정도 더 무거우나 표면은 평활하고 삭편판을 심판으로 사용하는 경우 중밀도섬유판을 심판으로 사용한 것과 무게가 거의 비슷하나 가격이 약간 더 저렴하며 2층의 중밀도섬유판과 그 사이에 1층의 단판을 조합시켜 심판을 구성하는 경우 표면이 평활하면서도 강하고 편평한 합판이 얻어지게 된다.

b. 표면특수합판
  i) 기계가공합판
    ‌ⓐ 구부합판: 합판의 표면에 기계가공으로 홈을 판것이다. 예를 들면 V형의 가는 홈을 세로가 되도록 적당한 간격으로 파 놓은 U형이나 V형 구부합판을 들 수가 있다.
    ‌ⓑ 형압합판: 인두화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무늬가 조각되어 있는 롤러를 가열하여 합판을 통과시킴으로써 무늬를 새겨 놓은 장식용 합판이다.
    ‌ⓒ 유공합판: 장식용 목적으로 목공추 등을 이용해 천공 가공된 합판이다. 극장 등과 같이 흡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2매의 유공합판 사이에 유리섬유 등을 충전하여 사용하게 된다.
  ‌ii) 오버레이(overlay)합판
    ‌ⓐ 단판오버레이합판: 미관을 목적으로 합판의 표면에 얇은 장식용 화장단판을 적층시킨 것이다.
    ‌ⓑ 합성수지오버레이합판: 표면의 경도 증대 등의 목적으로 합판의 표면에 멜라민 수지판, 수지함침지 등을 적층시킨 것이다.
    ‌ⓒ 금속판오버레이합판: 합판의 표면에 금속판을 적층한 것으로 무게에 비해 강도가 크며 화재시 불꽃의 확산을 방지하는 등 특수 목적으로 사용된다.
  ‌iii) 도장합판
    ‌ⓐ 인쇄합판: 나왕이나 피나무 등 비교적 목리가 균일하고 재색이 담색인 합판의 표면에 천연 목재의 아름다운 목리나 무늬 등을 인쇄하거나 인쇄지를 적층한 합판이다.
    ‌ⓑ 투명 및 칼라도장합판: 미관, 내구성 등을 위해 각종 도료로 도장되어 있는 합판으로써 생산 공장에서 처리되어 출하되는 것을 도장처리합판(prefinished plywood)으로 부르고 있다.

c. 약제처리합판
  ‌i) 경화합판: 단판에 석탄산수지 등을 함침시켜 열압으로 제조한 합판으로써 강도, 내구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하며 계기판, 전기기계 부품 등에 사용한다.
  ‌ii) 내화합판: 인산암모늄, 황산암모늄 등의 내화약제로 처리된 합판이다.
  ‌iii) 방부합판: 펜타크로로페놀(PCP, penta chlorophenol), 크레오소트유(creosote oil) 등의 방부약제로 처리된 합판이다.
  ‌iv) 방충합판: 붕사, 붕산 등의 방충약제로 처리된 합판이다.
‌d. 성형합판: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곡면으로 제조한 합판으로써 라디오 장식장, 의자의 등받이 등으로 사용된다.
  
③ 수종에 따른 분류
  ‌a. 활엽수합판: 나왕 등과 같은 활엽수 단판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판으로 주로 조작용으로 사용된다.
  ‌b. 침엽수합판: 미송 등과 같은 침엽수 단판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판으로 주로 구조용으로 사용된다.
  ‌c. 혼합합판: 심판에 침엽수 단판을 그리고 표, 리층에 활엽수 단판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활엽수재 원목 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원가 절감 목적에서 생산되고 있는데 가구용이나 건축용으로 사용된다.
  ‌d. 대나무합판: 길이 3∼4m의 대나무로부터 두께 1.0∼1.5㎜ 정도의 단판을 깎아 제조한 합판으로써 항공기 부재, 가구, 상자, 문, 마루판, 풍차용 날개, 시멘트 형틀 및 각종 장식용 재료로 쓰인다(그림 1).

그림 1. 합판 제조용 대나무 단판

④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방산량에 따른 분류
  a. 한국산업규격(KS)
    ‌i) SE0: 평균값 0.3㎎/L 이하, 최대값 0.4㎎/L 이하인 합판.
    ‌ii) E0: 평균값 0.5㎎/L 이하, 최대값 0.7㎎/L 이하인 합판.
    ‌iii) E1: 평균값 1.5㎎/L 이하, 최대값 2.1㎎/L 이하인 합판.
  b. 일본농림규격(JAS)
    ‌i) F☆☆☆☆: 평균값 0.3㎎/L 이하, 최대값 0.4㎎/L 이하인 합판.


<다음호에 계속됩니다.>
국민대학교 임산생명공학과 엄영근 교수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