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목 적치장 모습

원목 적치장에 대한 문제가 정부기관이나 지자체의 무관심 속에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인천의 경우 과거 원목 적치장으로 사용되던 한진중공업 보세장치장이 여러가지 용도로 개발되면서 기존에 원목을 보관했던 업체들은 다른 부지를 찾아 흩어졌다.
지난 2013년 5월 부산에서는 공동 원목 적치장이 대체 부지를 찾지 못한채 폐쇄되면서 그곳에 있던 수많은 원목들은 현재까지도 부산항 인근 약 10곳의 부지에 나뉘어서 적재돼 있다.
이전에 비해 줄어든 원목 수요를 감안하면 적재하는 토지도 그에 따라 줄어들수 있다고는 하지만, 현재 원목을 공급하는 업체들은 전용 적치장이 아닌 곳에 적재하면서 비싼 보관비용과 운송비용을 감당하고 있다.
이에 대한목재협회(회장 강원선)는 인천시와 항만청에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해줄 것을 적극적으로 요청했다. 그결과, 인천 북항배후단지 북측의 준설토 매립지(인천 서구 원창동 435, 436, 439-1번지)를 원목 적치장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추진됐지만, 항만청은 인근 주민들의 반대 및 제조·물류기업 유치 등을 이유로 들면서 계획을 전면 취소했다.
일각에서는 경제성 논리에 따라 토지의 활용방안을 결정하는 지자체들을 일방적으로 비난하기는 어렵다는 입장도 있지만,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산업 규모가 축소된 목재업계에 대한 외면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원목 수입업체 A사 관계자는 “인천 북항지역 일대는 현재 철강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조 업체들이 많이 진출하게 됐고, 이에 기존에 있던 목재업체들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고 말했고 또다른 B사 관계자는 “지금 당장의 수익성만을 생각하고 목재산업을 외면하는 것은 추후 국가적 손실을 초래할수도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부산목재도매업협동조합의 유승균 이사장은 “부산의 경우 흩어져있는 적치장들로 인해 원목 하역 및 소독작업이 어려워 목재를 운송하는 선박들이 부산항 입항을 기피하는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며 “임대 토지를 활용하는 등의 대책 방안을 계속 건의하고 있지만, 해양수산부와 부산시에서는 항만법에 저촉된다며 수용이 불가하다는 대답만을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한목재협회 김승태 전무는 “일본이나 대만의 경우 원목 적치장과 같은 시설을 정부에서 직접 관리하면서 목재업체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자유롭게 활용할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목재산업의 미래를 생각한다면, 정부 혹은 지자체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통한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힘줘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