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는 2차목부라고도 알려져 있는 복잡한 생물질로써 유관속형성층의 활동에 의한 2차생장(비대생장)의 결과에 따라 대부분의 종자식물과 많은 피자식물의 수간과 뿌리에 발달하게 되는 조직체이다.
이와 같은 목재는 세포의 분화 과정중 세포질의 활동에 의하여 퇴적된 두꺼운 세포벽들이 모여 이루어진 집합체인데 세포질은 세포벽의 퇴적 종료후 생활기능을 잃어버리게 되므로 결국 목재를 구성하게 되는 대부분의 세포에는 어더한 살아있는 내용물도 남아있지 않게 된다.



1. 침엽수재와 활엽수재
목재는 일반적을 연재(軟材, softwood)라고도 불려지고 있는 침엽수재와 경재(硬材, hardwood)라고도 불려지고 있는 활엽수재의 두 부루로 크게 나누어지고 있는데 이들 연재와 경재라는 용어는 중세 목재시장에서 유래된 명칭이다.
나자식물의 목재인 침엽수재는 소량의 유세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가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나무류, 가문비나무류 및 젓나무류와 같은 침엽수 목재는 조직이 균일하기 때문에 가공하기가 비교적 용이한 편에 속한다.
한편 피자식물의 쌍자옆식물에 속하는 수목의 목재인 활엽수재는 두꺼운 세포벽을 지니는 목섬유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침엽수재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목재시장에서는 전통적으로 경재라고 불려져 왔다.
그러나 단단한 조직의 목재나 연한조직의 목재는 침엽수재나 활엽수재에 관계없이 이들 모두에 존재하기 때문에 경재와 연재라는 용어는 실제적으로 잘못 붙여진 명칭이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발사(balsa wood : Ochroma sp.)는 매우 연한 조직의 목재, 즉 연재에 해당되나 피자식물에 속하므로 정의상 경재(활엽수재)로 분류되고 있다.
목부를 구성하는 세포벽 물질의 비중은 모든 목본식물에 있어 큰 차이없이 다소 일정하므로 특정목재의 밀도와 경도는 주로 두꺼운 벽을 지는 세포의 양에 의해 주로 좌우된다.
따라서 발사 목재는 얇은 벽을 지니는 유세포를 다량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매우 가벼운 부류의 목재에 속하게 되는데 두꺼운 벽을 지니는 세포를 다량 지니는 목재일수록 그만큼 더 무겁고 단단해지게 된다.



2. 목재를 구성하는 세포의 형태
다소 구형의 나타내는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는 식물체의 기본조직과는 달리 목재를 구성하게 되는 대부분의 세포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신장된 형태를 지니고 있어 양호한 통도기능과 축방향으로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 매우 적절한 구조가 되고 있다.
모든 목재 세포는 ‘수축(樹軸)에 평행인 방향-축방향’ 과 ‘수축(樹軸)에 직각인 방향-방사방향’ 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목재를 수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과 수축에 평행인 방향의 단면(횡단면)으로 절단하여 조사해 보면 세포 배열에 따른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가 있다.
세포의 배열 방향에 따른 이러한 기본단면은 광학현미경 관찰용 목재 절삭편 및 주사전자현미경 검경용 목편의 관찰면 제작시 이용되고 있다. 절삭된 6면체 목편의 사진에는 횡단면(TF), 접선단면(TLF) 및 방사단면(RLF)이 각각 표시되어 있다.

Image_View
< 활엽수재의 목재 >
횡단면(TF), 접선단면(TLF) 및 방사단면(REF)이 나타나 있으며 축방향의 요소인 도관요소(V) 및 목섬유(F) 와 방사방향의 요소인 방사조직(R) 사이의 관계가 3단면상에 명확하게 드러나 있음. 목재 시편으로부터 3단면 모두를 한번에 깨끗하게 절삭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목재에서 3단면 특성을 동시에 관찰하기란 실제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음. 횡단면/접선단면/방사단면 × 140



3. 생장층
대부분의 목본성 식물은 연속적인 생장을 이루기보다는 오히려 주기적인 생장을 나타내게 되는데 신장생장 및 수간의 비대생장 모두 이런 특성을 보이고 있다.
온대지역에 있어서 이러한 주기성은 계절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데 봄과 여름에 가장 왕성한 생장을 이루다가 그 후 부분적인 동면을 거쳐 추운 겨울철에 이르게 되면 완전한 동면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열대 지역에 있어서는 그 생장이 연속적이거나 간헐적일 수 가 있는데 온대 지역에서처럼 환경의 계적적인 변화와 연관시키기가 그리 쉽지 않다.
온대지역의 수목의 경우 계절에 따른 생장의 형태가 목재내에서 일련의 생장층인 생장륜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들은 횡단면과 방사단면에서 쉽게 관찰 할 수가 있다.
온대지역에서의 이러한 생장<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