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층
부어넣기 콘크리트나 블록벽의 지층은 신축한 후 한동안 습기가 찰 수 있다. 하지만 시공이 잘된 경우 난방철이 시작되고 나면 벽체와 바닥의 습기는 대부분 서서히 사라진다. 벽체나 바닥의 습기가 지속되면 수분침투를 막기 위하여 여러 지역을 조사하여야 한다.
주택주위의 최종 물매는 건물로부터 경사져야 하며, 기초벽으로부터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낙수 물받이 블럭 등을 사용해야 한다.
기초벽에서 토양이 내려 앉아 물이 고일 경우는 성토하고 다져서 표층수가 배수되게 하여야 한다. 또한 거푸집 타이로드에서 콘크리트벽의 누수일 때 대개 누수부위는 스스로막아지지만 큰 구멍은 시멘트 몰타르등의 실러로 막아야 한다. 몰타르를 잘 접착하기 위하여 작업할 곳을 깨끗이 닦고 물을 축여 준다.
지면위에 노출된 콘크리트 블록의 벽돌벽은 장기간의 우기가 지난 후 습기가 찰 수 있다. 시판되는 방수재료를 지층벽의 실내면에 처리하면 양호한 수분 침투저항성을 지닌다.
지반면아래 지층벽의 바깥쪽에 시공중 제대로 방수처리하면 실내벽에 별도로 방수처리할 필요가 없다.
비늘판의 하단과 잔디 사이에 적어도 15cm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기초벽과 토대사이의 균열을 확인하여 균열이 있으면 몰타르 시멘트나 코킹재료로 채워야 한다.


크롤공간
벽에 흰개미 튜브등 흰개미의 활동을 나타내는 흔적이 있는지 점검하여 약제처리를 한다.
크롤 공간내에 노출된 목재장선과 보가 과다한 함수율 상태에 있는지 점검한다.
지면의 수분으로부터 목재부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토양커버를 사용한다. 적은 양의 환기구를 설치하여 공기를 이동시킨다.


지붕과 다락
닫힌 경사부를 가진 주택의 박공벽 아래에 생긴 더러운 줄무늬는 싱글의 가장자리 아래로 비가 들어와 흐른 흔적이다. 이러한 현상은 싱글내밈이 불충분하거나 금속지붕 모서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물끊기 모서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비흘림 띠장을 설치하면 해결될 수 있다.
다락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난방된 방과 다락 사이에 단열재를 추가하고 내민 처마속의 환기량을 증가시키면 지붕에서 눈 녹는 양이 줄어들어 얼음형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락의 환기는 계절별로 유용하다. 여름철에 다락의 온도를 낮추어 아래층의 방을 안락하게한다.
겨울철에 천장을 통해 스며들거나 다락에 결로되는 수증기를 제거하고 결빙의 문제를 최소화한다.
환기시설은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열어 두어야 한다.


외주벽
아연도금이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등의 방청못 대신 철못을 비늘판에 사용할 경우 못머리에 녹슨 얼룩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얼룩은 플러시 못박기의 경우에 못머리가 재면 속까지 들어가도록 박아 퍼티로 메우면 어느정도 수리가 된다.
벽돌류는 모두가 방수제품은 아니므로 계속되는 비에 의해 수분침투가 일어날 수 있다. 덮개를 댄 목재골조위에 설치하는 벽돌 화장붙임에는 방수덮개종이를 붙여 수분이 벽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예방한다.
벽체에 이러한 보호조치가 없고 수분문제가 계속되면 노출된 벽돌면에 방수코팅을 한다.
수직선을 따라 재료가 바뀌는 곳(즉, 목재 비늘판이 벽돌 굴뚝이나 벽과 만나는 곳)에 코킹이 필요하다. 코킹재료 페인트로 목재를 초벌코팅해야 한다.
접합부가 견고하지 않으면 빗물은 맞댄 접합부를 통하여 목재 비늘판의 뒷면까지 침투하고 때로 맞댄 접합부 아래에서 모세관 작용으로 올라올 수 있다.
겹쳐서 맞댄 모서리의 아래에 설치한 비늘판을 페이트칠하여 수분의 침투에 대한 기계적 저항을 부여한다.


창문에서의 수분
차가운 날씨나 기후에 단일창의 안쪽면에 응축이나 서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한창이나 이중창을 설치하여 응축을 최소화한다.
매우 추운 날씨에 방한창의 안쪽면에 서리가 생기기도 한다. 이 원인은 느슨하게 맞춰진 창틀로 인하여 실내의 수증기가 창과 방한창 사이의 공간에 침투하였거나 주거공간의 상대습도가 높기 때문이다.
이러할 경우 내부창틀에 기밀편을 대면 수분의 유동에 저항하여 응축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실내의 습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외주벽문의 문제점
매우 추운 날씨일 때 물이나 서리가 외주벽문의 안쪽면에 발생하여 틀어짐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경우 속이 빈 문보다는 소재코어플러시문이나 소재살대와 막이재를 가진 패널문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