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과 전쟁을 치른 후 황폐화된 산림을 복원코자 군사정부는 대대적인 녹화사업을 하였고 녹화를 하기 위한 숲은 연료를 얻거나 사방을 목적으로 하였다. 강력한 보호정책을 시행해 지금의 푸르른 산이 됐다.

이렇게 짧은 기간에 녹화에 성공한 사례는 세계적으로 찾기 어렵다. 이런 성공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매년 93% 이상의 목재를 수입하고 있다.

누구나 이런 빽빽한 산림에 경제성이 없음에 아쉬워한다. 우리는 매년 3조원이 넘는 외화를 지불하고 있다. 이것은 40여년의 녹화기간 동안 경제림 조성의 중요성을 소홀히 하고 녹화에만 치중한 결과의 소산이다.

한국 임업이 실종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아무도 실종된 임업을 바로 세우지 않고 매년 해 온 일을 반복했다. 40년 동안 그렇게 해왔다.

40년 전에 경제림조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더라면 임업소득이나 국산재 자급율은 지금과 많은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90년 후반기에야 비로소 경제림 조성에 나섰다. 하지만 지금도 조림수종 선정에 있어 여러 혼선을 초래하고 있다.

이 혼선은 목재이용과는 거리가 먼 정책시행으로 인해 환경 우선인 시각을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환경보호와 목재이용은 균형 잡힌 천칭저울과 같다.

환경보호에 무게를 두면 목재생산이 부진하고 이로 인해 산주의 소득감소와 수입목재도입으로 외화를 지불해야 한다. 반대로 목재이용만 무게를 두면 지나친 수익성 때문에 공공의 이익을 저해할 우려도 있다.

경제림은 천칭저울의 한 쪽 부분이 되어 환경보전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래야 건강해 지는 것이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