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산업이 살아나려면 국산목재를 이용하는 산업과 수입재를 가공하거나 유통 판매하는 산업이 모두 변해야 한다.

국산목재의 후진 이용을 벗어나야 하고 수입 목재의 대량 수입, 저품질, 저가경쟁의 판매 문화를 바꿔야 한다. 이를 해내지 못하면 목재산업의 퇴행을 막을 수가 없다. 이에 대해선 수 없이 경고해왔다. 목재이용을 가로막는 법과 제도에 관련된 외부환경도 이대로 두면 목재산업의 목을 계속 죄어 오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과감하게 벗어나야 한다. 시간은 목재산업의 편이 아니고 목재 대체재가 빠른 속도로 침범하고 있기 때문에 위기의식과 대비와 행동이 필요한 때다.

국산목재의 이용을 위해서는 중·소경재 전용 최신 제재시설이 필수다. 최소한 제재수율이 65%는 나와야 한다. 이어 최신 대형 건조시설도 있어야 한다. 최신 제재설비에서 경쟁력 있는 제재목이 생산되면 이 제재목은 벽판재, 데크재, 집성판재, 후로링재, 건축구조재, 구조용 집성재 등을 가공하는 산업으로 공급될 것이다. 제재목이 해결되면 구조용 직교 집성재 (CLT) 생산도 가능해진다. 수율 67% 정도인 소·중경재 최신 제재시설은 무인설비이고 약 100억 원 정도이며, CLT 설비도 100억 원이면 된다. 이게 돼야 국산목재를 이용한 공공건축 산업을 육성할 수 있다.

국산재 이용에 중요한 다른 하나는 합판생산이다. 국산재 합판생산은 안되는 게 아니라 안 하는 거다. 국산 침엽수 소·중경재를 이용한 합판생산을 위해서 최신 설비에 투자를 해야 한다. 일본이 평균 22cm의 원목으로 경쟁력 있는 합판 생산을 하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국산 합판이 생산되면 국산목재로의 건축이 원활해진다. 제재목과 합판이 있으면 국산재 목조건축이 현실이 된다. 제재와 합판 생산이 본 궤도에 오르면 단계적 이용이 가능해진다. 제재-합판-보드-연료 순으로 순차적 공급이 가능해진다. 국산목재의 제재물량이 많아지면 보드공장으로 가는 부산물 원료도 많아진다. 국제사회가 권장하는 목재의 단계적 이용시대가 열리는 것이다.

물론 국산재는 수입재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과 품질이 돼야 한다. 코로나 때 전 세계 제재목 가격이 폭등했는데 국산목재는 겨우 7% 정도만 올랐다. 수요보다는 공급이 문제였다. 당시 국산목재로 대체해 보려고 여러 노력이 있었지만 공급이 해결되지 못했다. 국가가 할 일은 국산목재 이용에 있어서의 설비나 장비에 대한 로드맵을 세우는 것이다. 국산 목재의 공급을 원활히 하고 벌채에서 운송까지 들어가는 비용을 크게 낮추어 주어서 산주의 소득을 높여주고 가공공장에는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 정책을 운용하는 것이다.

수입목재는 가격보다는 품질위주의 시장이 되도록 판매 문화를 바꿔야 한다. '다른 사람이야 어떻든 나만 벌고 보자'는 식의 수입과 유통은 많은 피해를 낳게 한다. 소수는 부를 채울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 좁아지는 시장 때문에 모두가 곤경에 빠지기 쉽다. 국민의 소득은 늘었는데 소비수준에 맞는 제품을 공급해서 목재이용을 늘려가야 한다. 친환경 소비, 탄소중립 소비, 저탄소 소비에 가장 합당한 지출이 바로 목재제품을 사는 것임을 알려야 한다. 그리고 그런 제품들을 수입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수입의 질을 높여야 한다. 또 제품에 맞는 시공에 대해서도 소비자에게 설명이 필요하다.

수많은 목재제품들이 시공이 적절하지 못해 제 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철거되는 것을 수없이 보아 왔다. 목재제품의 이용에 장애가 되는 건축, 환경, 인증 등 규제철폐를 위해서도 싸우고 힘을 보태야 한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