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독일, 호주, 네덜란드, 캐나다, 일본, 미국 등 목재이용 선진국에서는 목조빌딩, 목조도시, 대규모 목재주거시설 등을 위해 법과 제도를 손보고 설계기술 향상과 지역목재를 이용한 제조를 위해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건축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어서다.

지구의 37%의 이산화탄소 발생은 건축과 건축 관련 산업에서 발생한다. 철근콘크리트에서 목조로의 전환만으로도 기후변화에 일정부분 기여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를 이용하면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건축물의 목조화를 위해 오로지 목재만을 사용하자는 것은 아니다. 필요하면 철근과 콘크리트와의 하이브리드 구조화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고, 이런 방식이 더 유용하게 적용되는 사례도 많다. 매스팀버를 이용한 대규모 대형 목조건축의 일반화는 목재이용이 더욱 많아질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목재사용이 줄고 있다. 발전용 에너지로 사용되는 목재는 증가했으나 건축이나 인테리어 등 다른 부분의 목재이용은 줄고 있다. 본래 소득이 늘어나면 기후변화를 대처하기 위해서도 목재이용이 늘어나야 한다. 공공기관의 목재이용이 늘어날 경우, 목재이용에 장애가 되는 각종 규제에 대해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질 터인데 그렇지 못하다. 그만큼 산림정책의 목재이용부분이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국산재의 이용이 파쇄중심의 이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도 산림청의 목재이용 정책이 양적공급을 위주로 다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산림청이 양적 공급문제를 넘어서 국산목재자원의 부가가치 이용에 적극적이려면 원목의 생산과 등급구분과 저장시설에 투자해야 한다. 경급에 맞는 이용을 철저히 해서 제재와 건조를 필수로 하는 이용정책을 써서 시장을 키워야 한다. 여기에는 토지와 설비가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에 정부 예산투입과 의지 없이는 성공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산에서 벌채되는 활엽수는 이용정책 자체를 찾아보기 어렵다. 파쇄 중심의 침엽수 이용은 건조의 중요성을 망각하게 한다. 침엽수는 제재해서 건조하지 않으면 청변 발생으로 좋은 상품을 제조할 수 없다. 생선이 상하도록 그냥 둔다는 말이다. 산림청이 국산목재 이용을 확대하려면 건조와 등급구분에 투자를 해야 한다. 등급구분을 확실하게 하고 제재용은 바로 제재해서 건조해 보관 이용하는 방식의 시설투자가 절실하다. 이렇게 하면 5천억 원의 국산재 시장을 조 단위로 바꿀 수 있다.

목재이용의 85%는 여전히 수입목재다. 수입원목이나 제재목이 제품이 돼 판매되는 시장은 규제로 인한 걸림돌이 발생하지 않아야 시장이 확대된다. 현실은 플라스틱이 ‘친환경’이라는 인증 보호막을 써서 사용이 증대되는 반면 목재는 ‘천연소재’이기 때문에 화재나 천연VOC 때문에 사용제약이 걸려 시장이 축소되고 있다. 대형챔버, 소형챔버, 데시케이터를 써서 폼알데히드나 휘발성 화합물을 측정하는 것조차도 목재산업의 의견은 묻히고 있다.

2017년 11월 포항 지진이 발생했을 때 소형주택도 내진설계가 의무화됐다. 이때 목조주택의 구조계산을 할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수많은 목조주택이 철근콘크리트로 이동했다. 2만동은 넘었어야 할 목조주택 착공동수가 1만 이하로 내려와 올라서지 못한 채 5년이 됐다. RPS제도로 MDF 공장이 문을 닫는다. 제도의 도입이 이런 결과를 낳았다. 목재산업은 불행히도 이런 부분에 안테나가 없다. 주무관청도 먼저 알고 예방하지 못한다. 항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이다. 목재이용이 감소되는 것은 목재산업 종사자들의 책임이 크다. 산업을 위해 희생하는 사람이 그만큼 적다는 뜻이기도 하다. 스스로 구하지 않고 변화하지 않으면 ‘산업’이 아닌 장사만 남을 ‘시장’이 되고 말 것이다. 탓하기 보단 앞장서자.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