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만대장경의 실체
팔만대장경은 어떤 나무로 만들어졌나

팔만대장경판은 지금부터 750년 전 고려 고종 23년인 1236년부터 38년인 1251년까지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16년간 제작된 81,258여장의 목판으로 8만 4천 법문을 수록하였기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라고 하며 고려시대에 판각되었기 때문에 고려대장경이라고도 불린다.

Image_View

팔만대장경판은 81,258판 1511부 6802권으로 해인사 수다라장과 법보전에 보관되어 있는데 경판은 앞뒤로 글자가 새겨진 부분과 마구리로 구성되고 총 길이는 68 혹은 78cm이며 폭은 약 24cm, 두께는 2.7∼3.3cm이며 무게는 3∼3.5kg정도이다.
판의 후면 끝에는 경의 이름과 장 수, 천자문 차례의 함호를 새기고 좌우 끝의 각목에도 동일한 표시를 남겼다.

경판 한면에 23행, 한 행에는 14자의 글씨가 새겨져 있으므로 한면에는 322자이고 양면은 644자이며 전체로 보면 5천2백여만자나 되지만 한 사람이 쓴 것처럼 동일한 필치로 글자의 조형성과 예술성이 뛰어나다. 오자나 탈자가 거의 없을 정도로 고르고 정밀하다는 점에서 그 예술적 가치는 물론, 현존하는 대장경 중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와 완벽한 내용이라는 점에서 단연코 세계 최고라 할 수 있다.

750년이나 되었지만 단 한 장의 뒤틀림없이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는 해인사의 특징은 대장경을 보관하는 데 필수 조건인 습도와 통풍이 자연적으로 잘 조절되어 있다. 자동적으로 습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땅에 숯과 횟가루, 찰흙 등을 넣어 다졌고 판전의 창문도 통풍이 잘 되도록 과학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져 경판 보존 창고로는 이상적이어서 해인사는 세계 최고의 목판을 보존하고 있는 성지로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대장경판의 재질은 지금까지 자작나무라고 알려져 왔으나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조사 결과 산벚나무와 돌배나무가 대부분이고 자작나무는 거의 없다고 한다. 다음 호에는 경판의 제작 방법과 수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참고자료: http://bh.kyungpook.ac.kr
http://korea.insights.co.kr
http://www.buddhapia.co.kr

정리/박진희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