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스토니아 (Alstonia)

 

Image_View

 

學名 : Alstonia scholaris (Linn.) R. Br

 

商名 : 동남아시아에서 뿔라이(Pulai)라고 불려지는 것으로 파푸아 뉴기니에서는 알스토니아(Alstonia)라는 학명을 바로 시장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리안자야 및 호주에서는 밀키파인밀키파인(Milky pine) 또는 밀키우드(Milk wood)라고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뿔라이(Pulai)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사      바)  Pulai          (필  리  핀)  Dita
 (사 라 와크)  Pulai            (솔  로  몬)  Tamba       
 (브 루 나이)  Pulai              (P.  N.  G.)  Alstonia, White cheesewood
 (말  레  이)  Pulai              (이리안자야)  Milky pine, Milk wood
 (인도네시아)  Pulai          (호      주)  Milky pine, Milk wood
 (인      도)  Chatian, Shaitan    (타      이)  Tienped, Thia  
 (미  얀  마)  Shaitan            (베  트  남)  Mo cau

 

分布 : 이 속의 수종으로는 약 40여종이 있으며 미얀마, 필리핀, 말레이, 보르네오, 인도네시아, 뉴기니, 인도, 동남아시아 대륙 및 심지어 아프리카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또한 생산지에 따라 이름도 다양한데 대체적으로 해발 500m까지의 저지림이나 습지림에서 생장한다. 생장속도가 빨라 2차림에서도 볼 수 있고 도로에 인접한 곳에서 생장하기도 한다.

 

性狀 : 그렇게 크게 자라지 않은 나무이다. 수고 30m 정도의 중경목인 경우가 많고 수피는 회색 또는 회흑갈색의 비섬유성이며 그리 두껍지 않은데 1㎝ 깊이까지의 수피층에 회백색 반점이 나타난다. 대체로 수피는 평활하며 작은 피목(皮目) 모양의 점을 볼 수 있다. 내수피는 황갈색의 섬유성이다. 수간은 비교적 통직한 편이며 근주 부위에 축방향으로 깊게 들어간 곳이 많아 이를 횡단하면 별 모양의 목재가 얻어지게 된다. 형상이 불규칙한 것이 많다는 점이 이 나무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

 

木質 : 변재와 심재의 구분이 잘 되지 않으며 재색은 담황백색이다. 목리는 교착되어 있으며 나무갗은 고운 것에서부터 거친 것까지 있다. 상당히 연하고 가벼우며, 기건비중은 0.35~0.45 정도이다. Jelutong과 목질이 비슷하나 Jelutong보다는 다소 못한 편으로 재면에 까만 죽은 옹이가 많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습지에서 자라므로 내구성이 대단히 약하고 기계적 성질도 대단히 낮다. 가공, 톱질, 건조, 접착, 대패질, 도장하기에 좋고, 맛과 향기는 없다. 곤충, 변색균 등에 매우 약하며 벌채후 빨리 처리하지 않으면 썩거나 청변균이 낀다. 보존제 주입은 매우 용이하다. 비중 0.7~0.8 정도로 무거운 것은 특히 Pulai batu라고 부르는데 물속에 가라앉을 우려가 있으며 내구성도 다소 지닌다.

 

用途 : 내구력을 필요로 하지 않은 곳에 주로 사용된다. 모형재, 악기재, 조각재, 흑판, 제도판, 성냥개비, 포장용재 등에 많이 쓰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수년간 여자의 하이힐 뒤 축 또는 나무 신발(木靴) 등의 제조시 사용한 적이 있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