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목재신문=김현우 기자]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등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이어지면서 재건축·재개발 일감이 줄어들자 대형건설사들이 100가구 남짓한 소규모 정비사업과 리모델링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사업성은 낮지만 규제가 덜하기 때문이다. 이에 건자재업계는 대형건설사가 정비사업 및 리모델링 시장의 ‘메기’가 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대형건설사의 규제 덜한 소규모 사업‧리모델링 시장 진입
GS건설이나 현대건설 등 대형건설사들은 최근 공사비가 1000억 원 미만의 초소형 사업을 적극적으로 수주하고 있다. GS건설은 서울 송파구 삼전현대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을 수주했다. GS건설만 참여해 수의계약이 이뤄졌다. 138가구, 468억 원 규모다. 또 현대건설의 경우 서울 장위11-2구역 가로주택정비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장위동 68의 883 일원 6685㎡를 개발해 공동주택 167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공사비는 350억 원 수준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수천억 원 단위 사업을 주로 해온 이들 건설사의 참여가 이례적이라면서도 작은 사업지들에 대한 정부 자금지원이나 용적률 완화 등의 인센티브가 커 대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할 만 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건자재업계, 이케아 한국 진출 때처럼 건설업의 ‘메기 효과’ 기대

대형건설사들이 그동안 거들떠보지 않았던 초소형 사업과 리모델링 시장에 뛰어들자 불황에 힘겨워 하던 건자재업계 역시 이를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자재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소건설사들이 주로 수주하던 초소형 사업에 대형건설사들이 뛰어들면서 경쟁이 심화됐다”며 “결국 내‧외장재 등을 통해 차별화를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불고 있는 내‧외장재 고급화 시장 활성화와 비슷한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대형건설사의 수주 참여로 소규모 정비사업이 활성화되면서 건자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는 “가로주택정비사업과 같은 소형 사업은 재개발‧재건축 등 다른 방식에 비해 사업 절차가 간단해 속도가 빠른 게 특징”이라며 “대형건설사가 진출해 시장이 활성화되면 사업 회전 속도가 더 빨라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타일 및 욕실 자재 전문 기업 D사의 관계자는 “최근 리모델링 시장이 점점 커지면서 실제 매출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대형건설사의 참여로 메기 효과가 발생해 올해 매출도 상승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일부 건자재업체만 혜택 누릴 듯
반면 일각에서는 대형건설사들이 기존 협력사에 일감을 주기 때문에 건자재업계 전반의 활성화는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익명을 요구한 건설사 관계자는 “대형건설사가 참여해도 실제 공사는 협력사가 진행하기 때문에 ‘아는 업체의 쓰던 자재’만 쓸 가능성이 높고 특히 사업 규모가 작아 깜깜이 입찰이 더욱 많아질 것이다”고 우려했다.

그에 따르면 대형건설사가 사업을 수주해도 결국 협력사가 각각의 시공 업무를 담당한다. 이들 협력사는 각자가 자재를 구입해 공사를 진행하는데 초소형 사업의 경우 각 시공의 규모가 작고 입찰 규모도 크지 않아 투명성이 떨어지고 일부 업체만 혜택을 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대형건설사들이 중소형 사업을 전담하는 자회사를 만들어서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며 “이 탓에 중소건설사들 특히 중소형 사업이 많은 지방건설사들의 위기가 찾아온 상황이고 동시에 지방에 위치한 건자재업체도 위기다”라고 주장했다.

이 외에도 대형건설사가 신규 시장을 개척한 것이 아닌 기존 시장에 진입하는 것인 만큼 건설시장 규모는 변하지 않아 건자재업계의 활성화는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재 건자재업계의 불황은 건설 경기침체에 의한 국내 수요 감소가 주 원인”이라며 “건자재업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신축이 늘어 건자재 수요가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신축이 늘기 위해서는 결국 규제 일색인 부동산 정책이 완화되는 방법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목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