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정부가 공공건축의 40%를 목조 구조로 전환하겠다는 ‘목재 건축 로드맵(Timber in Construction Roadmap 2025)’을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건축 재료 변경이 아니라, 건축·산림·기후정책을 통합하는 구조적 전환 계획으로 평가된다. 영국은 2050년 탄소중립(Net Zero) 달성을 위한 건축 분야의 구조개혁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목재를 ‘건축용 저탄소 핵심소재’로 공식 지정했다.
◇건축을 통해 산림을 지키는 구조로
영국 환경식품농림부(DEFRA)는 이번 로드맵을 통해 목재 사용의 장기적 비전을 명확히 제시했다. 공공건축물 신축시 목조 비율 40% 이상을 목표로 하며, 설계·시공 단계에서 건축자재의 내재탄소량(Embodied Carbon)을 평가하도록 의무화한다. 또한, 영국 내 조림지에서 생산된 국산목재의 이용률을 2035년까지 25%로 확대하겠다는 구체적 수치도 포함됐다.
환경, 산림, 농림 통합부처인 DEFRA는 “산림에서 나온 목재가 다시 건축으로 돌아가는 순환체계(Forest-to-Building Cycle)를 확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역별 제재소 현대화, 목재품질 등급제도 개선, 공공조달기준 개정 등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건축자재의 전 생애주기(LCA)에 대한 탄소관리 체계도 강화되며, 이는 유럽 내 EUDR(유럽산림전용방지규정) 대응의 일환으로도 해석된다.
◇목조건축, 비용보다 가치의 문제로
영국 건축연구기관(UKGBC)은 “목조화는 단기비용보다 장기편익이 크다”고 분석했다. 콘크리트 구조물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0~70% 감소하며, 공사기간은 평균 25% 단축된다는 것이다. 또한, 목재는 철근·콘크리트보다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능이 우수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특히, 런던시와 맨체스터시는 이미 시범사업으로 공공청사, 초등학교, 도서관 등 중저층 공공건물의 목조건축을 도입했다. 영국 정부는 이러한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2026년 부터 지방정부 건축기준에 목조화 가이드라인을 의무 반영할 계획이다.
